
[앵커멘트]
인공지능이 사교육비 절감을 주도할 맞춤형 교육의 ‘열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내려면, 시간과 준비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공교육 어디로’ 기획 마지막 순서, 윤석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학교 수업에 AI가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AI는 개별화된 학습을 제공하고 교사의 행정업무를 줄여주는 등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올해 정부는 교과서에 AI를 접목해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도 얻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첫 발을 내디딘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박찬용 /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대표: DKT(지식추적기술) 같은 경우는 데이터가 많이 쌓여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현재 AI 교과서는 데이터를 굉장히 많이 쌓고 있는 단계다, 이게 쌓이면서 수준별로 혹은 아이들의 지식 현황 별로 맞춤형 학습이 나가고있는 단계다,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고요.]
교육 정책의 방향 또한 명확히 설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미국은 기업과 대학이 교육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영국 역시 민간 기술을 공교육에 빠르게 접목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국가가 AI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과 인프라를 집중 지원하는 국가 주도형 모델을 운영 중입니다.
우리 정부는 국가가 주도하되 민간 기술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중간 모델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애매한 포지션을 유지하다 보니 실제로 구현되는 기술의 완성도는 낮고, 변화의 속도도 더딘 실정입니다.
분명한 것은, 누가 주도하든 맞춤형 교육의 핵심 기술은 민간에서 개발된다는 점입니다.
기업이 기술을 자유롭게 개발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와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하는 이윱니다.
[임걸 / 건국대 교육공학과 교수: (AI 기술이) 어떤 식으로 적용되어야 할지, 누구에게 얼마나 쓰여야 할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지 피하지 않고 매우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활용해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투자가 교육영역에서 필요하다…]
사교육비 절감의 해법으로 부상한 AI.
기술의 진보를 교육 혁신으로 연결하려면, 정부의 뚜렷한 방향 설정과 민간의 기술 역량이 조화를 이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